ADHD 핵심 정보 요약

자유게시판

ea746a4ddddf7ec48d1b940c0e954dd8_1681350287_75.jpg
 

ADHD 핵심 정보 요약

ntc 0 178 10.10 21:30

e3db000858c48acc12a92bbcc5f5fcf5_1760099406_83.png

ADHD 핵심 정보 요약 

**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(ADHD: Attention-Deficit/Hyperactivity Disorder)**는 아동기에 주로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는 신경발달 장애입니다. 지속적인 **부주의(Inattention)**와 **과잉행동-충동성(Hyperactivity-Impulsivity)**이 특징으로 나타나며, 이로 인해 학업, 직장, 사회생활 등 여러 기능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. ADHD는 단지 '산만한 성격'이 아니라, 뇌 안의 주의 집중 및 자기 조절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(도파민, 노르에피네프린 등)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학적 질환입니다.


1. 주요 증상

ADHD 증상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뉘며, 연령에 따라 양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(예: 성인은 과잉행동보다 안절부절못함이나 내적인 초조함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).

범주주요 증상 예시
부주의 (Inattention)-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부주의한 실수 잦음

- 과제나 활동 시 지속적인 주의 집중 어려움

- 지시를 따르지 못하고 과제를 끝내지 못함

- 과제나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데 어려움

- 물건을 자주 잃어버림 (숙제, 연필, 휴대폰 등)

-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짐

- 일상적인 일을 자주 잊어버림
과잉행동 (Hyperactivity)- 손발을 만지작거리거나 의자에 앉아서 몸을 꿈틀거림

-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자리를 떠남

- 지나치게 달리거나 기어오름 (성인은 안절부절못함으로 대체됨)

- 조용히 여가 활동을 즐기지 못함

- "쉴 사이 없이 활동하거나" 마치 "모터가 달린 것 같이" 행동함

-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함
충동성 (Impulsivity)- 질문이 채 끝나기도 전에 불쑥 대답함

-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

-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참견함 (대화, 게임에 끼어듦)


2. 진단 기준

ADHD 진단은 전문가(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등)와의 상담과 평가를 통해 이루어지며, 미국정신의학회의 DSM-5 진단 기준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  • 증상 기준: 부주의 또는 과잉행동-충동성 증상 중 특정 개수(아동은 6개 이상, 17세 이상은 5개 이상)가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.
  • 발병 시기: 장애를 일으키는 여러 증상이 12세 이전에 나타나야 합니다.
  • 상황적 기준: 증상이 2가지 이상의 환경 (예: 가정, 학교/직장, 친구 관계)에서 나타나야 합니다.
  • 기능적 손상: 증상이 사회적, 학업적/직업적 기능의 질을 방해하거나 감소시킨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.

3. 치료 방법

ADHD는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며, 주로 약물 치료와 **비약물적 치료(심리사회적 치료)**를 병행합니다.

  1. 약물 치료:
    • 중추신경계 자극제 (예: 메틸페니데이트 계열): 뇌의 신경전달물질(도파민, 노르에피네프린)의 활동을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, 충동 조절 능력, 학습 능력 등을 크게 호전시킵니다.
    • 비자극제 (예: 아토목세틴): 선택적으로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증상을 개선합니다.
    • 약물 치료는 환자의 80% 정도에서 효과를 보이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  2. 비약물적 치료 (심리사회적 치료):
    • 인지행동치료 (CBT): 충동성 조절, 문제 해결 능력, 사회적 기술 향상 등을 목표로 합니다.
    • 부모 교육 및 상담: 자녀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    • 사회성 기술 훈련: 또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배우도록 돕습니다.
    • 구조화된 환경 조성: 일상생활과 학습 환경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규칙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.

ADHD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질환이므로, 조기 진단과 지속적인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중요합니다.

Comments

Category
State
  • 현재 접속자 270 명
  • 오늘 방문자 5,044 명
  • 어제 방문자 5,180 명
  • 최대 방문자 126,808 명
  • 전체 방문자 5,426,511 명
  • 전체 게시물 561 개
  • 전체 댓글수 0 개
  • 전체 회원수 1 명